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Late row lookup
- 페이지네이션
- event loop
- 23000
- kafkaconnect
- kafka connect
- git rebase -i
- 1452
- 참조무결성
- Pagination Optimization
- kafka-connect
- Invalid character found in method name
- Cannot delete or update a parent row: a foreign key constraint fails
- 문자열 검증
- jdbc connector
- API 설계
- constraint fails
- Path Variable
- Query String
- 제약 조건
- 1450
- code --no-sandbox
- git reflog
- programmers
- debezium
- Cannot add or update a child row: a foreign key constraint fails
- Git
- reflog
- 페이지네이션 최적화
- foreign key constraint fails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119)
Kawaii_Jordy
실제로 컨테이너로 shell 접속을 해, c:\temp> docker exec -it 7bd3e7787b5e /bin/bash mssql-conf 프로그램을 실행해 보면 다음과 같이 권한 부족 오류가 발생합니다. $ /opt/mssql/bin/mssql-conf This program must be run as superuser or as a user with membership in the mssql group. 애석하게 sudo 도구 자체가 제공이 안 되므로, $ sudo bash: sudo: command not found 애당초 root 권한으로 bash shell을 실행해야 하는데, 다행히 docker exec에서 제공하는 "u" 옵션을 붙여 해결할 수 있습니다. // Root user in D..

이전 포스트 중에서 Left Recursive와 Right Recursive를 설명하면서 Parse Tree 라는 것을 잠깐 언급한 적이 있다. 말 그대로 해당 구문을 분석한 것이다. 그때 어떤 방향으로 분석하는지에 따라서 결과가 다르게 나올 수 있다고 했었다. 그런데 사실 이걸 판단하는 단계는 이전 과정에서 끝나는 것이고, 이 parse 방향이 정해지면 사실 결과만 빼놓고는 필요없는 내용이다. 우리가 필요로 하는 것은 terminal로 구성된 syntax일 뿐이다. 그래서 위의 parse tree 중 derivation 과정을 제외하고 필수적인 정보만 담은 tree를 Abstract Syntax Tree(AST)라고 한다. 물론 이름에서 담고 있듯 축약만 하고 있는 거지 Parse Tree와 동일한 정..

SSH 기본개념 SSH는 무엇이고 어떻게 사용하며 어떤 부분이 편리한지에 대해 알아본다. SSH 에 대한 더 많은 정보는 링크를 참고하자. 아래 내용은 macOS환경에 대해서만 다룬다. 일반적인 개발서버는 리눅스환경이기 때문에 조금 더 많은 설정(open-ssh 설치를 포함)이 필요할 수 있다. 하지만 맥락은 크게 다르지 않다. SSH 소개 SSH(Secure Shell)는 원격지 호스트 컴퓨터에 접속하기 위해 사용되는 인터넷 프로토콜이다. 뜻 그대로 보안 셸이다. 기존의 유닉스 시스템 셸에 원격 접속하기 위해 사용하던 텔넷은 암호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계정 정보가 탈취될 위험이 높으므로, 여기에 암호화 기능을 추가하여 1995년에 나온 프로토콜이다.(SSH는 암호화 기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통신이 노출된..

대표적인 크로스 도메인 이슈(CORS) 회피하기 위한 헤더 [Access-Control-Allow-Origin: * , Access-Control-Allow-Methods: GET, PUT, POST, DELETE, OPTIONS] 위와 같이 헤더를 사용하고 있었지만 이해하지않고 사용했었다. 최근에 소셜라이트로 토큰을 발급받고 토큰을 헤더로 전송하고 받는다는 걸 활용하려고 했는데 잘 되지않기도 해서 HTTP 헤더에 대해서 공부하게 됐다. 우선 자주 찾아보는 웹사이트 MDN 웹 문서를 참고했다. "HTTP 헤더는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요청 또는 응답으로 부가적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HTTP 헤더는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는 이름과 콜론 ':' 다음에 오는 값(줄 바꿈 없이)으로 이루어져 있습니..